🖋️

페이지를 로드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

Glyphs

Font(2024.03~)

휴먼범석체 네오 포스터

휴먼범석체 네오

리뉴얼 베리어블 폰트 정제된 장체

손글씨의 감성을 담되, 정제된 폰트로 재해석한 휴먼범석체의 리뉴얼 버전.
Variable Font로 제작되어 다양한 환경에서 균형 있게 사용 가능합니다.

상세 페이지
✔️ 🔁
이탈리크 포스터

이탈리크

유료 텀블벅 크라우드펀딩 자모자소

국민대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서체 소모임 ‘자모자소’ 5기에서의 작품.
오빌리크+이탈하다의 합성어로, 기울어진 가로축이 상승하는 느낌을 줍니다.

텀블벅 페이지
💸 ✍️

✨ Fontcreator ➞ Glyphs

2017 ~ 2018년에는 손글씨를 디지털로 변환해주는 과정을 친구가 맡아주었고,
2022 ~ 2024년에 휴먼범석체, 사각사각, Continuous, 어른아이의 디지털 작업을 진행할 때 모두 Fontcreator라는 툴을 이용했습니다.
그리고 2024년 3월, 국민대학교 TED에 입학하면서 드디어 디지털 폰트와 타이포그래픽 디자인 수업을 듣게 되었습니다!
해당 수업들에서는 Glyphs라는 새로운 폰트 디자인 툴을 배우고 사용하게 되었습니다(Mac 전용이라 맥북 프로도 구매하였습니다...)

Glyphs와 FontCreator 비교

항목 Glyphs (Mac 전용) FontCreator (Windows 전용)
작업 방식 컴포넌트 기반 설계로 글리프 재사용과 관리가 매우 효율적 글리프 개별 작업 중심, 구조적 관리 어려움
가변 폰트(Variable) 지원 전용 패널과 인터페이스로 직관적인 관리 가능 최근 지원 시작, 복잡한 구조는 다루기 어려움
UI / UX 심플하고 직관적인 Mac 스타일 전통적인 Windows UI로 초보자 접근 난이도 높음
스크립트 / 자동화 Python 스크립트 및 플러그인 지원으로 강력한 확장성 VBA 기반, 확장성과 커뮤니티 지원 약함
OpenType 피처 관리 GUI 기반으로 작성·테스트가 쉬움 직접 코드 작성해야 해 진입장벽 높음
한글 작업 적합성 초·중·종성 컴포넌트화 쉬워 대용량 한글 작업에 유리 한글 구조 설계와 관리가 불편하고 비효율적
플랫폼 macOS 전용 Windows 전용
가격 상대적으로 고가, 지속적인 업데이트 제공 저렴한 영구 라이선스, 업데이트는 제한적

🌐 위 내용은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있는 차이점이지만, 제가 두 개의 툴을 모두 사용하면서 느낀 점도 많습니다.

💡 우선 Glyphs를 사용하면서 가장 좋았던 기능으로는 작업 도중 바로 텍스트를 입력해서 feature를 체크할 수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단순히 내가 작업하고 있는 글리프뿐만 아니라, 양 옆으로 다른 글리프들이 배치되었을 때의 느낌까지 바로 파악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 또한 커닝 작업을 할 때 FontCreator에서는 수치를 지정하고 적용 후 테스트를 눌러야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서 어림짐작으로 넣는 경우가 많았지만,
Glyphs에서는 커닝 수치를 변경하면서 바로바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굉장히 편했습니다.

이외에도 준수한 Variable font 인터폴레이션이 가능하고, 한글 초/중/종성 컴포넌트를 통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등 여러 장점이 있습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