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지를 로드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

휴먼범석체 네오 - 무료 베리어블 폰트

안녕하세요. 서체 디자이너 이범석입니다.
2024년 3월, 대략 1년 전에 어른아이 서체를 배포한 이후로 1년 만에 휴먼범석체 네오 서체로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이번 작업물은 variable font(베리어블 폰트)로 Glyphs의 인터폴레이션 기능을 활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지난 1년은 저 개인에 있어서도, 서체 디자인에 있어서도 아주 의미가 큰 기간이었습니다.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TED)에서 시각디자인 석사과정으로 공부를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어떤 생각으로 이 서체를 만들었고, 어떤 방식으로 사용하실 수 있는지를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텍스트의 길이나 양이 많으므로, PC에서 읽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베리어블 폰트(Variable font)

기존 휴먼범석체에서 네오로 오면서 생긴 가장 큰 차이점은 아무래도 베리어블 기능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만든 휴먼범석체, 사각사각, 어른아이, continuous는 모두 static font에 해당합니다.
Variable font 는 변수라는 의미에 걸맞게 폰트가 하나로 고정된 형태가 아닙니다.
여러 가지 축(Axis)들을 설정하여 family 확장이 가능하며, 축은 weight가 대표적입니다.

Font family

Thin 100
안녕하세요 휴먼범석체 네오로 돌아온 서체 디자이너 이범석입니다
Extra Light 200
안녕하세요 휴먼범석체 네오로 돌아온 서체 디자이너 이범석입니다
Light 300
안녕하세요 휴먼범석체 네오로 돌아온 서체 디자이너 이범석입니다
Regular 400
안녕하세요 휴먼범석체 네오로 돌아온 서체 디자이너 이범석입니다
Medium 500
안녕하세요 휴먼범석체 네오로 돌아온 서체 디자이너 이범석입니다
Semi Bold 600
안녕하세요 휴먼범석체 네오로 돌아온 서체 디자이너 이범석입니다
Bold 700
안녕하세요 휴먼범석체 네오로 돌아온 서체 디자이너 이범석입니다

폰트의 weight(굵기)는 가장 얇은 100부터 가장 굵은 900까지 9가지 단계로 분류됩니다.
휴먼범석체 네오는 이 중에서 100부터 700까지 굵기 7종류를 2개의 마스터 폰트를 기반으로 제공합니다.

웹 환경과 어도비 제품군에서는 연속적인 Weight을 지원하고 있습니다.(100~700 사이의 숫자 선택 가능)

💡 아래 입력창과 Weight 조절 막대를 이용해, 직접 가변 폰트의 변화를 체험해보세요!
가변 폰트를 테스트해보세요
Weight: 400

한글

초성, 중성, 종성 밸런스

휴먼범석체 네오 만

위 그림은 두 서체의 자소 ‘만’에서 종성의 상단을 빨간 점선, 중성의 하단을 파란 점선으로 표시한 것입니다.
해당 자소를 보여드리는 이유는, 초/중/종성 밸런스 개선이 가장 잘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가로모임 받침글자에서 종성이 ㄴ인 경우 ㄴ의 높이가 중성 자음의 높이보다 높아야 안정적이고 가독성이 높습니다.

(휴먼범석체를 만들 때에는 해당 지식이 없었기 때문에 ㄴ이 높이가 ㅏ의 아래쪽 끝보다 낮았습니다)

💡 받침 글자의 불안정한 형태를 개선하고, 초·중·종성의 균형까지 섬세하게 맞췄습니다.

여백(흰공간)

휴먼범석체 네오 흰공간

위 그림은 두 서체의 자소 ‘을’을 초-중성 여백과 중-종성 여백을 색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서체가 Black & White로 구성된다고 할 때, 제 지도교수님께서는 항상 흰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하셨습니다.
여백은 회색도(흑백의 정도)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고, 적절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가독성에 있어서 아주 중요합니다.

💡 한글 자소의 흰공간을 넉넉히 확보해, 가독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설계되었습니다.

가독성 비교

정확하고 명확한 전달을 위해 글자는 공간과 균형이 중요하다 - Old 정확하고 명확한 전달을 위해 글자는 공간과 균형이 중요하다 - Neo
빠르게 읽혀야 하는 문장일수록 자간과 공간감이 중요해진다 - Old 빠르게 읽혀야 하는 문장일수록 자간과 공간감이 중요해진다 - Neo
아름다운 곡선과 견고한 직선이 조화를 이루는 서체를 만듭니다 - Old 아름다운 곡선과 견고한 직선이 조화를 이루는 서체를 만듭니다 - Neo

영문(Latin Alphabet)

Ascender/Descender line, x-height

  • Ascender line/Descender line, x-height은 영문 Typeface를 만들 때 가장 기본이 되는 선들입니다.
  • Ascender line은 라틴 소문자들 중에서 위로 높게 뻗는 b, d, h, k, l 의 최고 높이를 의미합니다.
  • Descender line은 소문자들 중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g, j, p, q, y 의 최저 높이를 의미합니다.
  • x-height은 말 그대로 x의 높이이며, 이를 바탕으로 a, c, e, n ,o 등의 높이를 결정합니다.
휴먼범석체/네오 x height

휴먼범석체/네오의 x-height

Ascender line과 Descender line은 그래도 어느 정도 지켜졌지만, x-height은 전혀 활용되지 않았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빨간 점선초록 점선은 모두 x-height을 의미하는데, 휴먼범석체는 소문자의 높이가 제각각입니다.
네오 작업을 할 때에는 영문 자소를 원칙에 맞게 제작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위의 기준선들을 적극 반영하였습니다.

💡 영문 글자의 x-height를 정리해 안정적인 영문 디자인으로 완성되었습니다.

커닝(Kerning)

커닝은 영문 폰트에서 특정 알파벳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 휴먼범석체에서 누락되었던 작업입니다.
당시에는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는 상태여서, 단순히 손글씨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수준이었기 때문이지요.

그 결과, 영어 문장의 가독성을 전혀 고려하지 못한 상태로 완성되었습니다.

AVATAR WAVE TO THE FUTURE – Old AVATAR WAVE TO THE FUTURE – Neo

같은 영문 텍스트로 휴먼범석체와 휴먼범석체 네오를 비교하면 개선점이 명확하게 드러납니다.
위는 ‘AVATAR WAVE TO THE FUTURE’이라는 영어 문장을 두 서체로 출력한 것입니다.
기존 버전은 커닝 작업이 되어있지 않아서 A, T, V, W 등의 알파벳들이 다닥다닥 붙어서 가독성을 떨어뜨리고 있습니다.

💡 영문 커닝 작업으로 글자 사이 간격을 정리해, 영문 가독성을 개선했습니다.

폰트 크기

기존의 휴먼범석체의 한글은 너비(Width) 685에 높이(Height) 845로 장체 스타일의 작은 서체였습니다.

폭이 좁고 키가 큰 장체는 스타일이지만, 휴먼범석체는 폭이 매우 좁고 키도 작아서 크기가 왜소했습니다.
(저를 포함한 많은 분들이 좋아하는 서체인 Noto-sans의 한글 자소가 너비 920에 높이가 900 정도입니다)

크기가 작으면 px를 키우면 되긴 하지만, 숫자로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생기게 됩니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서는 최대 폰트 사이즈가 정해진 경우가 있고(ex. 카카오톡), 이 경우 가독성이 떨어졌습니다.

Human-Beomseok

Human-Beomseok Neo

Noto sans

같은 크기(px)로 출력한 뒤 아래 정렬한 모습

지식보다 중요한 것은 상상력이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지식보다 중요한 것은 상상력이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지식보다 중요한 것은 상상력이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Imagination is more important than knowledge - Albert Einstein
Imagination is more important than knowledge - Albert Einstein
Imagination is more important than knowledge - Albert Einstein

문장으로 보면 차이점이 더 명확해집니다.(모두 같은 20px html)

한글 예시 문장을 보면 휴먼범석체가 가장 Width가 좁은 장체 스타일이고, Noto sans는 정방형, 네오는 그 사이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영문은 조금 특이한 현상을 보이는데, 네오의 Width가 오히려 조금 더 좁아져 영문 자체의 크기가 가장 작습니다.

💡 너비 820, 높이 920으로 크기를 키워, 더 넓고 안정적인 한글 자소 비례를 완성했습니다.

Typeface Specifications

한글은 Adobe-KR-9 규격에 맞춰 총 2,780자로 제작되었으며,
기존 휴먼범석체 2,350자에서 430자가 추가되었습니다.

영문은 대문자와 소문자 각각 26자씩, 총 52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수문자는 키보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본 문자들로 가볍게 구성했습니다.
! @ # $ % ^ & * ( ) - _ + = \ / ? . , > < ; : ' " “ ” ‘ ’ | ₩ ~ × ÷ € £ ¥

모든 문자는 가독성과 활용성을 고려해 균일한 품질로 제작되었습니다.

휴먼범석체 네오 다운로드

아래 버튼을 눌러 휴먼범석체 네오 전체 패키지를 다운로드하세요.
Static (TTF, OTF)와 Variable (TTF, WOFF, WOFF2) 파일이 모두 포함된 압축 파일로 제공됩니다.

다운로드 받기

※ 개인 및 상업적 사용 모두 무료입니다.
자세한 라이선스는 아래를 확인해 주세요.

라이선스 사용범위

통합 라이선스 - 개인, 기업 구분 X

📄 라이선스 안내

휴먼범석체 네오는 아래 용도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쇄물 제작 (책, 포스터, 잡지, 전단지 등) ✅
기업 보고서, 프레젠테이션, 공문서 등 문서 작업 ✅
브랜드 로고, CI·BI, 슬로건 활용 (단, 폰트 자체 상표화·저작권화 금지) ✅
웹사이트, 블로그, 쇼핑몰 등 온라인 콘텐츠 ✅
모바일·PC 앱과 게임 UI 및 인게임 사용 ✅
영상 콘텐츠 (유튜브, 광고, 애니메이션, 영화 등) ✅
제품 패키지, 각인 및 2차 제작물 적용 가능 ✅

폰트 파일 수정·복제·배포는 금지됩니다 ❌
소프트웨어 임베딩은 별도 문의가 필요합니다 ⚠️

자유롭게 활용하되, 폰트 파일 변형·재배포·상표 등록은 금지입니다.
문의 사항은 qjatjr5124@naver.com / bssqjaehfl@gmail.com으로 연락해 주세요.

2017년 겨울, 처음으로 제 손글씨를 디지털로 옮겨보자는 일종의 소형 프로젝트에서 시작했던 작업이
2022년에 마침내 폰트 한 벌로 탄생했을 때만 해도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것이라는 생각은 하지 않았습니다.
또 하나의 재미있는 프로젝트를 마무리했다고 생각했지만, 예상 외로 너무 많은 분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로 계속해서 서체 디자인에 관심을 갖고 깊게 빠져들어 지금은 대학원에서 작업과 공부를 계속하고 있네요.
제가 만든 서체들로 여러 양질의 컨텐츠들을 만들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 드리며,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 이범석 드림 –

다른 폰트들

2 thoughts on “휴먼범석체 네오”

  1. 안녕하세요 눈누에서 보고 찾아왔습니다.

    휴먼범석체네오의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도 홈화면으로 돌아갈 뿐, 다운로드가 되지 않습니다.

    어떻게하면 다운로드할 수 있을까요??

    좋은 작업 감사드립니다.

    1. 정말 죄송합니다. 워드프레스 업데이트 과정에서 링크가 왜곡되었네요. 지금은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Reply

※ 댓글 알림을 받으시려면 정확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Scroll to Top